◼️ 모든 글 ◼️

척도의 종류 표 정리 척도 척도 설명 명목 척도 값 간의 양적인 구분은 하지 않는 명명적인 척도 서열 척도 순서대로 나열된 척도. 규모 혹은 크기에 따라 서열을 매길 수 있다. 등간 척도 임의의 영점을 가진다(0이라는 값이 전혀 없다는 뜻이 아니다). 정확히 동일한 크기의 모든 구간에 대해 정렬된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일련의 서열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비율 척도 0이 실제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확히 동일한 크기의 모든 구간에 대해 정렬된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일련의 서열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 명목척도 * 명목 척도 : 값 간의 양적인 구분은 하지 않는 명명적인 척도. 흔히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입니다. 철수와 영미 사이에는 이름이라는 것 외에 연관이 없으며 철수와 영미 중에..
변수의 종류를 크게 이산 변수와 연속 변수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이산변수 첫 번째로 이산 변수란 분리되는 개별 범주로 구성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두 이산 변수 사이에 중간값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직업(경찰과 소방관의 중간은 없다.), 개수(1개와 2개의 중간 1.5개 라는 것은 없다.)등이 있습니다. * 이산변수 : 점수 간에 분리된 개별 범주. 두 값 사이에 중간값이 존재할 수 없다. 연속변수 두 번째로 연속 변수란 이산 변수와 다르게 중간값이 존재하는 연속된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무게(0kg~100kg까지 무수한 중간값이 있고 연속됩니다.), 시간(1초와 2초 사이 1.5초 혹은 1.500000초 등 무수히 많은 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연속변수 : 두 값 사이에 무한한 값이..
표 정리 표본 연구를 위한 개인의 집합으로, 모집단을 대표하기 위함 모집단 특정 연구에서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체 개인의 집합 변수 여러 개인에 따라 값이 달라지거나 변하는 특정과 조건 원점수 변수를 측정해서 얻은 값 모수 모집단을 설명하는 값 통계량 표본을 설명하는 값 기술 통계 자료를 정리, 명시, 요약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 절차 추론 통계 표본을 연구하고 분석하여 모집단에 대해 일반화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구성 표집 오차 표본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 사이의 불일치 혹은 오류 간단한 예시와 설명 우리가 실험을 위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만약 우리가 흡연자들의 흡연하는 동기를 알고 싶다고 한다면 우리는 흡연자인 실험 참가자들을 구성..
5달 정도 운영하고 느낀점들 긴 고민 끝에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옮기기로 했다.. 처음 깃허브 블로그를 시작할 때는 야심찬 마음으로 시작했고 사실 현재까지도 마음에 든다. 첫 깃허브 블로그를 시작했을 때는 내가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고 나중에 포트폴리오로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에 시작했다. 공부한 내용을 적어두면 나중에라도 내가 쓴 글을 다시 찾아 공부하면 되는 거니까! 그렇게 만든 내 블로그 ㅜ 근데 문제는 아래와 같다 ㅋㅋ 1. 꾸밀게 많아 좋긴하나 결국 할 수록 산으로 간다. 깃허브 블로그의 가장 큰 장점이다. css등 구조만 잘 이해하고 있어도 정말 내마음대로 꾸밀 수 있다. 그런데 꾸미는 구조가 많아지고 겹쳐질수록 변경하고 또 변경하게 되어 결국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다. 2. 디자이너가..
Data_novice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 Page)